안녕하세요. 오늘은 날씨가 갑자기 많이 추워졌네요. 전국적으로 눈이 오는 것 같은데 눈길 조심하세요.
그럼 본론으로 돌아와서 오늘은 기기 자재의 재질에 따른 용접자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용접자재는 아래 기준에 따라서 어떤 자재를 쓸 것인지 고민해야 하는데요.
1. 자재 재질.
- C.S이냐 Low Alloy, Stainless Steel이냐 등등 각 재질마다 용접자재가 달라요.
2. 자재의 인장 값.
- 같은 C.S의 재질이라고 해도 첨가하는 화학성분 및 열처리 조건에 따라서 인장 값이 차이가 날 수 있어요. 그럼 용접 부도 모재에 따라 높은 인장 값을 갖도록 적절한 자재를 선택해 줘야 합니다.
3. MDMT에 따른 충격 값 보증.
- MDMT별로 충격 값을 보증하는 용접자재가 나뉘어 있어요. 용접 Process별 자재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C.S의 경우 -18℃, -30℃, -50℃등 다양하게 있답니다. 물론 가장 저온을 보증하는 용접자재를 그 보다 MDMT가 높은 기기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그러면 용접자재 가격이 올라가니 요구되는 MDMT의 적절한 용접자재 선택이 중요합니다.
4. 용접자세, 전극 그리고 사용 가스
- 생산되는 용접자재가 모든 용접 자세와 전극에 사용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각각의 자재가 어떤 용접 자세와 전극 조건으로 용접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해요.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용접자재를 선택해야 하는 거죠. 또한 FCAW의 경우 가스 조건도 고려해줘야 하는데, 어떤 자재는 Co2 만 보호가스로 사용하고 어떤 자재는 Mixing 가스(Ar+Co2)를 보호가스로 사용하니 이 또한 현장에서 사용하는 조건에 맞게 선택을 해줘야 합니다.
5. 그 외 Spec요구사항.(Hydrogen Limitation, Chemical Composition 등)
- 다음은 Spec에서 용접자재에 대하여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그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자재를 사용해 줘야 하는데요 Class가 동일하더라고 Brand별로 Spec요구 만족 여부는 달라질 수 있어요. 용접자재 회사의 기술력 때문에 다를 수 있는 건데요. 예를 들면 어디는 Hydrogen Limitation을 H4를 만족하여 생산이 가능한데, 다른 Brand는 못할 수도 있고 그런 거죠. 화학성분도 동일해요 어떤 집은 요구조건에 만족하여 생산 가능하고 어떤 집은 만족 못하고 그런 경우가 있으니 잘 알아보고 구매해야 해요.
그럼 자재 재질에 따라서 어떻게 용접자재를 찾느냐???
고건 API 582 Code에 잘 나와 있어요. API 582 Code의 Table A.1~A.4를 보면 잘 나와있는데 참고로 여기는 SMAW기준으로만 나와 있어서 길잡이용으로 활용하시면 됩니다.
위 테이블은 제가 API 582 A.1일 부분을 오려온 건데, 자재가 C.S와 C.S를 용접한다고 하면 위쪽 모재란에서 Carbon Steel란과 왼쪽 옆 Carbon Steel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주는 거예요. 그럼 AB라는 게 보이죠?? AB를 찾았으면 Table아래쪽에 Key란에 가서 해당되는 자재를 찾는 겁니다. A라 한다면 SFA 5.1 번호에 E70XX이고, B라 한다면 SFA 5.1 번호에 E6010이네요. 두 자재는 인장 값이 다른 자재이며 B는 루트 PASS부분에 사용하는 자재 같네요. 그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고 하면 E70XX를 선택하는 게 맞겠죠? 그럼 ASME II Part.C의 SFA 5.1로 가서 E70으로 시작하는 자재 중에 적절한 자재를 찾는 거예요. E7014, E7015, E7016.... 등등 여러 가지 있지만 적용 가능한 용접 자세와 전극 등을 고려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제는 저 수소계 용접자재로 E7016을 가장 많이 사용한답니다. 단 E7016의 경우 충격시험 -30℃까지 보증해 주며, 더 저온으로 내려가면 E7018의 자재를 사용해야 해요.
이러한 정보가 모두 ASME II Part.C SFA-1.1을 보면 잘 나와있어요. 용접자재의 Class를 읽는 방법, 화학성분 값, 요구되는 전극, 자세 그리고 MDMT 및 특이사항 (Diffusible Hydrogen 등) 모두 잘 나와 있어요.
이렇게 설명하다 보니 ASME II Part.C 보는 방법을 알아야 용접자재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겠네요. 곧 ASME II Part.C 보는 방법에 대해서도 작성을 해 보겠습니다.
그럼 소중한 시간 내서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참지 마시고 댓글을 달아주세요.
'Welding > ASME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ME] ASME VIII Div.1 UCS-66 충격시험. (10) | 2020.02.27 |
---|---|
[ASME] ASME II Part.C_2nd 코드보는 방법. (0) | 2020.02.21 |
[ASME] ASME II Part.C_1st 코드 보는 방법 & MPS 작성. (0) | 2020.02.20 |
[ASME] ASME IX 코드 보는 방법. (4) | 2020.02.11 |
ASME Code에서 P Number 란? (0) | 2020.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