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ding

(24)
[열처리] S.S 열처리 오늘은 스테인리스 열처리에 대하여 알아볼까 해요. 스테인리스의 종류가 많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300계 열처리를 보도록 할게요. 상온에서 Austenite상으로 C.S보다 연하기 때문에 C.S보다는 열처리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그래도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니 알아보도록 해요. 스테인리스는 High alloy로 구분되기 때문에 ASME VIII Div1에서 UHA단락을 봐야 해요. ASME VIII Div1 UHA-32와 UHA-44를 보시면 열처리 요구되는 조건이 잘 정리되어있는데,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아요. 먼저 UHA-32는 용접 후열처리 관련된 내용인데 Table UHA-32-3을 보면 S.S 300계는 P- No.8으로 열처리를 금지하지도, 요구하지도 않는다고 나와있어요. 즉 용접 후에는 열처..
[열처리] C.S 열처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ASME VIII DIV.1에 따라서 C.S 열처리에 관련된 내용을 적어볼게요. 먼저 열처리의 목적은 어떤 행위로 인하여 강해진(딱딱해진) 강을 유하게(부드럽게) 풀어주는 역할이 목적이에요. 단단한 강도가 필요하여 철강을 사용하지만, 그래도 너무 강하면 부러지듯이 쉽게 파단이 될 수도 있고, 기기 안의 유체가 인체에 유해한 서비스(특별한 화학물질)의 경우 조그만 결점을 타고 C.S강을 계속 파고들면서 결함이 발생하는 성질이 있어서 결점이 쉽게 발생하지 말라고 해주는 거예요. 목적에 따라 열처리 용어가 나누어지는데 아래를 봐주세요. S.R(Stress Relieve): 냉간가공으로 인해 발생된 잔류 응력을 풀어주기 위한 열처리. PWHT(Post Weld Heat Treatment): ..
[PQ Test] Low Alloy(2.25Cr-1.0Mo) 안녕하세요. 오늘은 PQ Test의 진행 과정을 다루어볼 거예요. 그중 Test 하기가 까다로운 Low Alloy(2.25Cr-1.0Mo) 재질로 진행하는 PQ Test를 훑어볼게요. Low Alloy이라 하면 저 합금 강으로 Cr함유량이 1%~9%까지 함유된 강을 말하며, 그중 2.25Cr-1.0Mo강재를 이용한 PQ Test를 보겠습니다. 보통 고압 & 고온의 조건에 사용되는 기기의 재질로 사용되고 제가 담당했던 공사도 D Type 열교환기를 제작했는데, Operating 온도가 300~400℃조건이었어요. 어떤 조건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Test조건이 많이 달라지는데 저는 화공기기로 MDMT조건이 -29℃라서 요구되는 조건이 까다롭더라고요. 그래서 어려운 거 하나 하면 나머진 껌이니깐 조금 까다로운..
[ASME] ASME VIII Div.1 UG-84 충격시험. 안녕하세요. 오늘은 충격시험 두 번째 시간 UG-84에 관련된 내용을 보도록 할게요. 저번 시간 UCS-66은 C.S 또는 Low alloy재질의 금속에서 충격시험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충격시험을 진행한다면 시편은 어떻게 채취하고, 시편을 어떤 사이즈로 만들며 합격 기준값은 얼마인지 등 충격시험의 전반적인 사항을 알아볼 거예요. 먼저 충격시험 시편에 관련된 정보를 먼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충격시험의 시편은 3개의 1세트를 이루고, 시편 3개를 때려서 그 충격 값의 평균이 기준이 되는 거예요. 2. 충격 시편은 아래와 같이 가공해서 충격을 주는 거예요. 위 시편은 옆면의 모양이고 아래 시편은 위에서 본 모양이에요. 시편 크기는 10mm(높이) x 10mm(폭) x 55m..
[ASME] ASME VIII Div.1 UCS-66 충격시험. 안녕하세요. 오늘은 충격시험 IMPACT TEST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 볼 거예요. 전 용접 엔지니어니깐 자재 입장이 아닌 용접부 입장에서 요 충격시험을 바라볼 거예요. 자!! 그럼 먼저 충격시험이 뭔지 왜 하는지부터 알아봅시다. 충격시험이란 규격에서 정한 용접부 위치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규격에 맞는 크기로 가공한 다음 그 시편을 때려서 충격 값을 측정하는 시험이에요. 요 충격시험은 용접부의 인성이 얼마나 좋은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죠. 사람도 인성이 중요하듯이 용접 부도 인성(잘 부러지지 않고 끈끈한 성질, 질김 정도?)이 중요해요. 용접부나 금속이 인성이 약하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깨지거나 부서지는 거죠. 그래서 확인하는 겁니다. 요 충격시험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고, 요구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
[ASME] ASME II Part.C_2nd 코드보는 방법. Part.C 첫 번째 이어서 오늘은 두 번째입니다. 아래 2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할게요. 2번 SFA-5.20은 Carbon Steel 재질을 용접하기 위해 사용되는 FCAW Process에 대한 용접자재를 설명해 줍니다. ASME II Part.C SFA-5.20 항목을 보게 되면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제가 아래 설명한 것만 보셔도 충분히 아!!! 이 자재가 어디에 쓰고 어떻게 써야 하는구나 라고 아실 수 있을 거예요. A. 먼저 SFA-5.20은 U.S 단위를 쓰고, SFA-A5.20M은 SI 단위를 쓰는 것이며, 단위 차이일 뿐이지 다른 건 없습니다. B. SFA-5.20에 Table 1을 보면, 각각의 용접자재의 Mechanical Property(물성치)를 보여주는 표이고 모재와 가장 유사하거나..
[ASME] ASME II Part.C_1st 코드 보는 방법 & MPS 작성. 오늘은 ASME II Part.C 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ASME II라 하면 자재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Part.A 철금 속에 관련된 내용이고 Par.B는 비철금속에서 대하서 다루고 있어요. 그리고 Part.C는 용접자재에 관련된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Part.C 보는방법을 알게 되면 용접자재의 Class만 보아도 용접자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기기 재질에 따라 어떤 용접자재를 사용해야 할지 선택과 검토가 가능하죠.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봅시다. 이 코드의 경우 SFA번호로 내용이 달라지는데, 먼저 SFA-5.01과 SFA-5.02 같은 경우는 용접자재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 아닌 용접자재를 구매 요청할 때 어떻게 Test를 해서 반입할 것인지, 어떤 Packing으로 반입할..
[용접자재_1st] 자재에 따른 용접자재 선택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날씨가 갑자기 많이 추워졌네요. 전국적으로 눈이 오는 것 같은데 눈길 조심하세요. 그럼 본론으로 돌아와서 오늘은 기기 자재의 재질에 따른 용접자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용접자재는 아래 기준에 따라서 어떤 자재를 쓸 것인지 고민해야 하는데요. 1. 자재 재질. - C.S이냐 Low Alloy, Stainless Steel이냐 등등 각 재질마다 용접자재가 달라요. 2. 자재의 인장 값. - 같은 C.S의 재질이라고 해도 첨가하는 화학성분 및 열처리 조건에 따라서 인장 값이 차이가 날 수 있어요. 그럼 용접 부도 모재에 따라 높은 인장 값을 갖도록 적절한 자재를 선택해 줘야 합니다. 3. MDMT에 따른 충격 값 보증. - MDMT별로 충격 값을 보증하는 용접자재가 나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