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Q Test] 2nd에서 용접까지 다루어 보았고 이제 용접 이후에 해야 할 일들에 대하여 둘러보아요.
용접이 끝나고 열처리가 필요한 경우, 자재에 맞게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해야 하는데 제작될 기기가 받게 될 열처리 조건과 동일하게 해 주는 게 가장 좋아요. 어차피 목적이 기기의 작업조건 보증이니 동일한 조건이라 한다면 최고겠죠?
Carbon 및 Low alloy열처리 조건에 대한 내용은 ASME VIII Div.1 UCS-56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요즘 Spec에서는 보통 열처리를 요구한다면 최소 3 Cycle의 후열 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PQ Test 할 때는 1 Cycle(Min)과 3 Cycle(Max)로 진행하면 1 Cycle~3 Cycle까지 보증하는 것이니 퍼펙트!!!!!
시편을 길게 하여 용접을 한 다음 열처리 Minmum조건과 Maximum조건을 나누기 위해 자재를 절단해서 따로따로 열처리 진행해 주어야 해요.
PWHT Min조건과 Max조건을 모두 요구되는 Mechanical Test를 진행해도 상관없지만, 실용적으로 진행하려면 PWHT Min조건에서 Hardness(경도), Impact(충격)와 Macro(비드 관찰) 시험을 진행하고 PWHT Max조건에서 Tensile(인장), Bending(구부림)와 Impact(충격)등을 진행해 주는 게 좋죠. 이렇게 나누어 진행하는 이유는 자재의 성질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열처리의 목적이 금속의 경한 성질을 연하게 해 주기 위함이기에, 열처리를 조금만 진행한다면 경한 성질이 충분히 안 풀어질 수 있으니 Hardness로 확인하는 것이고, 열처리를 너무 많이 해주면 너무 연해져서 인장 값이 떨어지니 Tensile, Bending을 진행해 주는 겁니다. 다만 충격시험은 둘 다 진행해 주는 게 좋고요. Macro는 어떤 시편에서 진행 하든 상관없어요. 보통 경도 시험 시편을 Macro촬영에 쓰니 Min에서 진행하는 게 좋겠네요.
열처리가 끝나면 NDE(PT or MT & RT or UT) 진행해야 해요. NDE를 진행하는 이유는 Mechanical Test 하기 전 시편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고 결함이 있다면 그 부분은 피해서 가공해야 Test Fail을 최소화하겠죠? 그리고 NDE 없이 Mechanical Test 했다가 떨어지면 그 원인이 결함 때문인지, 용접 조건 때문인지 알 수가 없어요. 그래서 Mechanical Test 하기 전에 꼭 NDE를 하시고 진행하는 걸 추천드려요.
NDE결과까지 확인했다면, 각각의 코드에서 요구하는 사이즈로 시편을 가공하고 코드에 맞게 Mechanical Test를 진행하는 겁니다. 각각의 시편 제작 관련은 ASME IX QW-462에 나와 있어요. 인장시험 시편은 QW-462.1, 구부림 시험 시편은 QW-462.2 그리고 충격시험은 ASME VIII UG-84에 나와있어요. 참고로 ASME 코드에서는 Hardness를 요구하지 않지만 대부분 Spec에서 요구하며, 대표적으로 NACE 코드에 따라서 많이 진행해요.
Mechanical Test와 가공을 전문적으로 진행해 주는 업체들이 있지만, 그 업체들만 믿을게 아니라 진행하는 담당자 스스로가 각각의 코드 규격과 조건을 잘 알고 있어야 정확한 실험과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니, 업체만 믿지 말고 꼭 스스로 공부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TEST를 의뢰할 때는 정확하게 어떻게 요구하는지 알려줘야 해요. 아래 그럼 처럼이요.
이렇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시험을 제대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충격시험의 위치와 수량은 두께 및 용접 개선에 따라 달라지는데, ASME VIII Div.1 UG-84에 있고 나중에 자세하게 같이 보도록 해요. Hardness의 경우 NACE MR0103 코드에서 요구하는 사항과 API 등 그 외 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모두 합쳐 놓은 거예요. Spec에서 어떤 코드를 요구할지 모르니 복합적으로 해놓고 다 적용하는 거죠.
이제 Mechanical Test가 끝나면 시험업체에서 Report를 발급해 줄 텐데 서로 오류가 없는지 확인 후 공식적으로 발급됩니다.
그럼 PQ Test에서 용접할 때 기록해 두었던 Record Sheet(용접조건 예열온도, 전류, 전압, 속도, 비드 형성 모양 등 을 적은 기록지)와 Mechanical Test Report를 보고 PQR을 작성하는 겁니다.
PQR작성이 완료되었다면 WPS와 똑같이 을지 하단에 있는, 각각의해당란에 사인받고 A.I(ASME 감독관)에게 리뷰받으면 끝!!!!!
이렇게 하면 하나의 PQR이 작성된 겁니다. 이 PQR을 가지고 ASME IX QW-200을 참고하여 각각의 조건에 맞게 WPS를 작성하는 거죠.
그럼 오늘도 소중한 시간을 내서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꼭 댓을 달아 주세요.
'Welding > WPS&PQ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Q Test_2nd] 자재 및 용접자재 그리고 용접. (1) | 2020.02.14 |
---|---|
[PQ Test_1st] PQ Plan 작성. (0) | 2020.02.12 |
[WPS 작성방법] QW-409 전류, 전압 & 특기사항. (4) | 2020.02.09 |
[WPS 작성방법] QW-410 용접기법. (0) | 2020.02.06 |
[WPS 작성방법] QW-409 전기특성. (0) | 2020.02.05 |